포토샵의 Hue/Saturation 메뉴를 이용하면 특정 이미지의 색상을 바꿀 수 있는 데, 이때 명도 및 채도도 함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포토샵의 색상 변경 기능 실습을 위한 이미지 샘플이 있습니다. 파일을 포토샵에서 불러온 다음 Adjustments 패널에서 Hue/Saturation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Properties 패널에서 Hue를 좌우로 드래그하면 이미지의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하단의 되돌리기 버튼을 클릭하면 언제라도 원본 이미지 상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위의 샘플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색상인 마젠타를 선택하고 Hue 슬라이더를 좌우로 이동하면 마젠타 색상 계열만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이미지에 섞여 있는 색들의 경계가 명확한 이미지에서 매우 효과..
포토샵에서 Exposure 메뉴의 의미는 노출(빛의 양) 조절을 통한 이미지의 보정 작업을 의미합니다. 포토샵에서 노출을 조절하는 방법에는 상단 메뉴의 노출 메뉴를 조절하는 방법과 Adjustments 메뉴에서 +/- 표시가 된 Exposure 아이콘을 눌러 조절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통은 상단 메뉴만으로도 충분히 조절이 가능합니다. 다만, Adjutments의 Exposure 아이콘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정이 가능한 Exposure Layer가 생성되며, 추가된 다른 보정 효과로 인해 상단 메뉴의 Exposure가 비활성화된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래에 샘플 이미지가 있습니다. 1. 상단 메뉴를 통한 노출 조절 포토샵에서 샘플 이미지를 불러온 다음 Image > Adjustme..
포토샵의 보정(Adjustments) 메뉴에 있는 Curves 옵션을 이용하면 선명도가 떨어지는 이미지나 사진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샘플 이미지로 테스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Adjustments 패널에서 Curves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Curves 그래프의 오른쪽은 조금 위로 드래그하여 올리면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밝아 집니다. 반대로 왼쪽은 조금 드래그하여 내리면 어두워지면서 선명해집니다. Curves 그래프는 이미지의 명도와 채도 곡선을 나타내므로 이를 조절하여 이미지 선명도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Curves 단축키는 Ctrl+M입니다. 3. 위에서와 같이 Curves 그래프를 조정하여 보정한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비교한 이미지입니다. 오른쪽 이미지가 Curv..
포토샵의 Levels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도 대비 기능으로 어두운 톤(Shadow), 중간 톤(Midtone), 밝은 톤(Highlight) 슬라이더를 조절하여 이미지의 명도를 개선하거나 원하는 명도로 변경합니다. 즉, 레벨 조정을 통해 밋밋하고 어두운 사진이나 이미지를 밝고 또렷한 이미지로 변경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레벨 작업은 자동(Auto)이 아닌 일종의 수동 화질 개선 작업을 통해 최적의 화질을 찾아내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샘플 이미지를 통해 레벨 작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포토샵에서 위의 샘플 이미지를 불러 온 다음 Adjustments 패널에서 많은 파동 모양의 Levels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Properties 패널에서 가장 어두운 톤의 슬라이..
포토샵을 열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새로운 파일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기존에 작업했던 20개까지의 목록 중 하나를 열어볼 것인지를 물어보는 대화창이 뜨게 됩니다. 즉, 포토샵을 열 경우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메뉴는 Creat new와 Recent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창입니다. 그런데 여러가지 이유로 최근 사용했던 파일 목록이 뜨지 않게 설정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목록을 뜨지 않게 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상단 메뉴중 Edit > Preferences > General을 클릭해 포토샵 설정 창을 엽니다. 2. 위에서 6번째 옵션인 File Handling을 클릭합니다. 3. 오른쪽 내용중 가장 아래에 있는 'Recet File List Contains:20'에서 20을 0으로 변..
포토샵을 전문적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의 영상을 보다 보면 많은 분들이 마치 프로 게이머가 게임을 할 때처럼 현란하게 단축키를 사용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직업적이 아닌 일반인들이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지만 중요하거나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를 알아 두면 단순 반복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도움이 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아래에서는 포토샵의 모든 단축키를 용도별로 묶어 보았습니다. 1. 선택 관련 단축키 - Ctrl+드래그 : 이동하기 - Alt+드래그 : 가운데부터 선택 영역 지정하기 - Shift+드래그 : 정비례로 선택 영역 지정하기 - 선택영역이 지정된 상태에서 추가로 Shift+드래그 : 원본 선택 영역에 새로운 선택 영역 추가하기 - Ctrl+D : 선택 영역 해제하기 - Ctrl+..
포토샵에서 이미지를 선명하게 조정할 경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정 방법(Adjustments)은 밝기(Brightness)와 색상 대비(Contrast)를 조절하는 것 입니다. 이미지를 선명하게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보정(Adjustments) 메뉴의 사용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샘플 이미지를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포토샵을 열고 샘플 이미지를 불러온 다음 우측에 있는 Adjustments 패널에서 반반 태양 모습의 아이콘인 밝기 및 대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밝기와 대비를 수동으로 조금씩 오른쪽으로 밀어 올려도 전체적으로 이미지가 밝아지고 선명해집니다. 패널 창의 메뉴들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 Auto : 이미지의 밝기와 대비를 포토샵 최적 값으..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이전 포스팅에서 실습으로 사용했던 이미지를 그대로 불러와 흑백 이미지로 만든 다음 특정 색조가 들어간 이미지로 변경하는 작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즉, 흑백사진에 원하는 색조가 깔려있는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입니다. 아래에 있는 이미지는 이전 포스팅에서 작업했던 샘플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입니다. 이번에는 상단 메뉴를 이용하지 않고 우측 옆에 있는 Adjustments 패널에서 Creat Black and White Adjustment layer 아이콘을 눌러 줍니다. 이렇게 하면 이미지가 흑백으로 변합니다. 이 상태에서 tint(색조)에 체크 표시를 해 준 다음, tint 옆에 있는 조그만 색상 박스를 클릭한 다음 원하는 색으로 조정하여 특정 톤으로 보정합니다. 위와 같이 tin..
포토샵의 메뉴 중 하나인 'Desaturate'는 '채도를 낮추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컬러 이미지 전체를 쉽게 흑백 이미지로 바꾸기 위해서는 Desaturate 메뉴를 이용해 채도를 -100으로 낮추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에 샘플 이미지가 있습니다. 포토샵에서 샘플 이미지를 불러온 다음 상단 메뉴 중 Image > Adjustments > Desaturate를 클릭합니다. 아래의 이미지처럼 포토샵에서 한번의 클릭만으로 간단히 채도를 -100으로 낮춰 흑백 이미지로 만들어 줍니다. 단축키는 Ctrl+Shift+U로 즉시 흑백 이미지로 변환됩니다.
포토샵에는 전문가들이 옵션을 설정해서 작업해야 할 어려운 명도, 채도, 색상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보정(Adjustments)해 주는 자동화 도구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도구를 이용하면 전문적인 그래픽 보정 지식이 없더라도 클릭 한 번으로 이미지 보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있는 저작권 없는 이미지를 통해 실습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습을 진행해 본 결과 원본이 선명하고 또렷한 경우에는 큰 효과를 체감할 수 없지만 원본 이미지의 화질이 떨어질수록 자동 보정이 효과를 발휘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1. auto tone 포토샵의 상단 메뉴에서 Image > auto tone을 클릭하면 이미지의 명도와 대비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이미지가 좀 더 선명해 집니다. 2. auto contrast 포..
포토샵의 채널 패널에 표시된 알파 채널은 언제든지 선택 영역으로 불러와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장된 알파 채널은 파일을 종료해도 함께 저장되므로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래의 샘플 이미지를 통해 중앙의 꽃을 제외한 외부 포커스 배경을 흑백화하여 중앙의 꽃 컬러를 강조하는 이미지로 변경하는 작업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파일은 저작권이 개방된 무료 이미지로 누구나 상업적으로까지 이용이 가능한 이미지입니다. 마우스 우클릭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위의 샘플 파일을 포토샵에서 불러온 다음 상단 메뉴에서 Select > Focus Area를 선택합니다. Output 옵션에서는 Selection을 지정해 줍니다. Focus Area 기능은 포토샵 2014..
현재는 영문판 포토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글판과 영문판을 자유롭게 변경하고 싶은데 메뉴에서는 영문판 하나만 보여서 변경을 할 수가 없습니다. 아래의 스크린샷에서처럼 포토샵을 열고 상단 메뉴에서 Edit > Preferences > Interface로 들어가면 포토샵을 영문에서 한글판으로 또는 한글판에서 영문판으로 바꿀 수 있어야 하지만 한글판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하에서는 영문판과 한글판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상태의 포토샵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두 개의 파일 중 자신의 포토샵에 존재하지 않는 언어팩을 압축을 푼 다음 아래의 경로에 복사하면 됩니다. - C:\Program Files\Adobe\Adobe Photoshop 2020\Locales 1. 영문..
포토샵의 채널은 여러 색상이 모여서 하나의 이미지를 구성할 경우에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색상 정보를 기억하는 역할을 하며, 이미지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채널 패널에 표시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채널을 색상 채널이라고 합니다. 알파 채널은 선택 영역을 저장할 때 사용되는 데, 256단계의 음영으로 선택 영역을 결정해 저장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저장된 선택 영역을 불러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채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RGB와 CMYK의 차치에 관하여 알아야 합니다. RGB란 Red, Green, Blue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것으로 빛의 3원색인 빨강, 청록, 파랑의 3가지 색상 혼합을 말합니다. 흔히, 모니터의 색상을 의미하며 디지털카메라의 색상이나 웹 브라우저 내의 ..
포토샵에서 스마트 오브젝트는 기본적으로 벡터 이미지 포맷 속성을 가지고 있어 크기를 줄이거나 늘려도 이미지의 손실이 없이 선명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마트 오브젝트는 벡터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포토샵의 필터 효과를 적용하더라도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 언제라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오브젝트 기능이 유용한 것은 많은 단계의 필터 적용이나 보정을 거쳐야 하는 작업에서 원본 손상 없이 손쉽게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반면 스마트 오브젝트 레이어로 변환하지 않은 경우에는 원본 손상의 위험은 물론 되돌리기 위해서는 많은 단계의 히스토리를 취소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저작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적당한 크기의 과일 이미지가 있습니다..